성경은 왜 인신공양을 기록했을까?

이 본문은 신앙과 폭력, 하나님의 영과 인간의 맹세, 그리고 침묵 속의 희생이라는 복잡한 문제를 던진다. 우리는 이 장면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1. 소외된 영웅, 입다의 등장 입다는 "기생이 길르앗에게 낳은 아들"로 태어나 형제들에게 쫓겨난 인물이다(사사기 11:1–2). 그는 고대 사회에서 천한 출신으로 배제된 자 였고, 그런 그를 이스라엘은 전쟁의 위기 앞에서만 다시 불러낸다. 이 구조는 단지 고대만의 문제가 아니다. 오늘날에도 소외된 존재를 필요할 때만 도구처럼 부르는 사회 구조 는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 입다는 전투 능력 때문에 호출되었을 뿐, 존엄한 인간으로 환영받지 못했다. 2. 하나님의 영과 입다의 맹세 사사기 11:29은 이렇게 기록한다. “그때 여호와의 영이 입다에게 임하시니…” 하나님의 영이 임한 직후, 입다는 전쟁을 향하며 다음과 같은 치명적인 서원 을 한다. “내가 암몬 자손에게서 평안히 돌아올 때, 내 집 문에서 나를 맞는 자를 여호와께 번제로 드리겠나이다.” (11:31) 이 서원은 예상치 못한 결과로 이어진다. 그의 외동딸이 문 밖으로 그를 맞이하며 희생의 대상이 되어버린다. 3. 하나님의 침묵은 무엇을 말하는가? 이 이야기에서 하나님은 아무 말도 하지 않으신다. 아브라함과 이삭의 이야기에서는 하나님이 직접 천사를 보내 인신제사를 막으신다. 그러나 입다의 서원과 딸의 희생 앞에서, 하나님은 끝까지 침묵하신다. 이 침묵은 신의 의지인가? 아니면 인간의 오해인가? 질문은 명확해지지만, 대답은 본문에 없다. 침묵은 때로 승인보다 더 무거운 공백을 남긴다. 4. 입다의 서원은 인신공양인가? 입다는 ‘ 올라 ’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이는 전소 번제 , 즉 죽여서 불태워 바치는 제사 를 의미하는 히브리어다. 이 표현이 동물이 아닌 사람에게 적용되었다는 사실 자체가 충격적이다. 성경은 단지 이렇게만 말한다. “그가 그의 서원대로 행하니라.” (사사기 11:39) 이후 그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