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채롭고 화려한 김희선 패션 스타일 이미지 스크랩
김희선의 패션 스타일을 모아 보았습니다.
김희선은 생김새도 화려하지만 옷스타일도 화려하고 튀는 스타일을 추구합니다. 무난하고 평범하게 옷을 입는 것을 본 적이 없을 정도로, 최소한 옷에 빤딱이를 묻히고서라도 튀는 스타일을 추구하는 김희선.
김희선의 리즈 시절 1998년 이후 변천사(1998 to 2003)
대략 1998년에서 2000년 초반은 김희선의 리즈 시절이었습니다. 물론 지금도 제2, 제3 전성기를 구가하면서 연기면 연기 미모면 미모 해마다 물이 올라 대중의 큰 사랑을 받고 있긴 하지만요. 대중성있게 흥행하고 인기있던 최고의 시즌은 바로 이 시기가 아니었나 합니다. 김희선이 하고 나오는 모든 것이 족족 절판되면서 품절의 아이콘으로 불렸으니 말입니다.
1999년 김희선 미모 탐구
뭔가 90년대 초반까지 최진실이 예쁜 것보다는 친근하고 귀여운 이미지로 대중의 폭발적인 사랑을 받았다면 김희선은 이를 뛰어넘어 넘사벽, 세젤예 미모로 영역을 확보한 것이지요.
2000년의 김희선
2001년 김희선 외모
70년대 정윤희, 유지인, 장미희 3대 미인에 이어 1980년 태생의 태희, 혜교, 지현이 고유명사처럼 따라 붙는 동안 1990년대 초반은 온리 최진실 독점 체제였고 90년대 중후반까지는 이렇다 할 트로이카가 없이 너무나 막강한 스타들이 대거 등장했기 때문입니다. 정말이지 우열을 가릴 수 없을 정도의 대형 스타들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왔고 지금까지도 이들은 조연 배우가 아닌 주연 배우로 활약할 정도로 인기와 명성이 대단합니다.
김희선과 이나영, 한가인 등 포지션 애매하지만 최고의 스타는 분명한데 뭔가 트로이카로 묶이지는 않는 그런 스타들 같습니다. 그중에서도 이들보다 조금 나이가 많은 77년생 김희선이 가장 위치 선점하기 힘든 배우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최진실 때부터 송혜교 등 세대 상관없이 두루두루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2002년 김희선 스타일
그렇다고 전지현이나 고소영처럼 광고의 여왕으로 등극한 것도 없이. 아니 또 그렇다고 광고를 안 찍은 것도 아닙니다. 다만 자신의 이미지와 브랜드 모두 윈윈할 셀렉 능력이 부족했던 게 아니었나 싶기도 하고 말입니다. 김희선 소속사가 어디였는지는 모르겠지만 전지현을 키운 소속사의 천재적인 마케팅 능력을 본받아야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전지현 하면 몇몇 떠오르는 브랜드가 있잖아요.
그 브랜드 덕분에 전지현도 크고 브랜드도 컸는데 김희선도 큰 스캔들 없이 사고 친 것도 없었는데 그녀를 대표하는 브랜드가 각인되지 않는 게 문제였죠. 물론 드라마는 지금도 기억에 남긴 하지만요. 그녀의 찬란한 이미지를 고정시켜 줄 브랜드가 부족했던 겁니다.
2003년 김희선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날을 회상하면 김희선은 역대 그 어떤 배우보다 아름답고 독보적인 매력을 남기긴 했습니다. 그냥 외모만으로 사람을 홀릴 수 있다는 걸 보여준 케이스가 아닌가 합니다. 그녀의 깊이있는 매력 혹은 호감을 떠나 객관적으로, 표면적으로 느끼기에 완벽한 미인이란 생각을 안 할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아마도 경국지색은 김희선 같은 미인에게 붙는 말이겠죠. 김희선은 고전 시대에 태어났으면 분명히 나라를 들었다 놨다 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저는 항상 김희선을 보면 지금도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90년대 런칭하여 이후 잘나가던 최고 브랜드 오브제를 연상했는데, 오브제 대표가 김희선이 브랜드 모티브였다고 한 사실을 이제야 알았네요. 아니 근데 왜 그렇게 오랫동안 조이너스 모델만 했던 건지 모르겠네요. 오브제 모델로 처음과 끝을 같이 했더라면 더할나위없이 좋았을 것 같은데 말입니다.
10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대한민국 최고 미인 김희선의 데뷔초(since 1992~)
1992년의 김희선
김희선이 정확하게 1976년생인지 77년생인지는 확인할 길이 없습니다. 그냥 김희선은 16살인가 17살 때부터 데뷔하였고 데뷔 후 줄곧 꽃길만 걸은 탁월하고 타고난 대한민국 최고의 미인 배우임은 틀림없습니다.
언젠가 인터뷰에서 그녀가 1년에 한번씩 전체 수혈을 받는다고 했던 것 같은데요. 무슨 희귀 질병이 있다고 했던 것 같습니다. 지어낸 말인지 앞뒤 맥락없이 그 부분만 들었던 터라 팩트는 모르겠습니다만 그 덕분인지 그녀는 흡혈 마녀처럼 변하지 않는 미모를 지니고 있습니다.
1992년 데뷔 후 현재까지 아주 조금 원숙해졌다는 것 이외는 모두가 똑같습니다. 몸무게도 크게 변화가 없어 보이고요. 물론 점점 통허리가 되는 것 같기는 하지만요.아, 그녀의 유일한 약점이기도 합니다.
드라마 공룡선생으로 데뷔한 김희선은 다음 해 추석 특집 드라마 성춘향전에서 춘향이 역을 맡았는데요. 뭐 어디에 얼굴을 비추든 시선 집중하게 만드는 압도적인 미모로 한국을 평정했다고 보여집니다.
게다가 남다른 센스도 장착했죠.
1995년의 김희선은 드라마 바람의 아들로 첫 성인 역을 맡았는데요. 김혜수도 그렇고 김소연도 그렇고 십대에 성인 연기를 한 배우는 적지 않지만 김희선은 유독 표정 등 원숙미를 풍긴 것 같습니다.
물론 당시 유행하던 화장 스타일이 나이보다 몇 살은 더 들어보이는 특징이 있기도 하지만, 그 시절 두껍고 진한 화장 트렌드에도 굴욕없이 완벽한 미인을 입증한 배우가 바로 김희선입니다.
그 당시 드라마를 보지 못해서 스토리는 모르지만 조금 비운의 여인 캐릭터가 아니었나 싶은데요. 이렇게 진지한 스타일의 연기는 이후로 좀처럼 보기 어려웠고 보다 가벼운 로코 드라마 전담 배우로 등극하게 됩니다.
이후부터는 화장, 액세서리, 패션 스타일 어떻게 입고, 하고 다녀도 그녀 스타일이 유행할 정도로 일종의 신드롬을 일으킵니다. 1990년대 초반까지 최진실 신드롬을 일으켰다면 그 후발 주자로 김희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녀의 파급 효과는 대단했습니다.
그러나 너무 완벽한 얼굴에 완벽한 비율 그리고 각선미를 구축했기에 그녀를 시기하는 여성들도 적지 않았다고 보여집니다. 인정하기 싫다 이거죠. 물론 그녀가 범접할 수 없는 신비스럽고 독특한 개성을 지닌 미인이었다면 대중의 시기와 질투를 받지 않았을 것 같은데요.
필자는 김희선이 예쁘다기보다 톡톡 튀는 신인 배우 정도로만 생각했는데요. 뭔가 전형적인 미인 같으면서 평범한 미인처럼 보이다가 스타일이 너무 오브제 중심으로 멋을 내는 것 같아 세련된 것 같지도 않고, 그러면서 헤어 스타일은 다채롭고, 특히 의상 컬러 매칭도 화려하게 튀는 스타일이라 특별히 관심있게 보진 않았습니다.
워낙 주변에 비슷하게 예쁜 친구들이 많아서 그랬던 것 같긴 합니다. 뭐랄까 주변에 얼굴 예쁜 친구 중 꼭 김희선처럼 생긴 미인형이 있듯이요. 그래서인지 그녀보다 젊게는 오연서, 늙게는 김희애가 비슷한 이미지로 자주 서칭되는 것 같습니다. 한예슬도 그렇고요. 통속 미인이 딱 맞는 분위기 같으면서 주변에 저렇게 독보적인 미인이 또 있나 싶기도 하고.
아무튼 김희선 미모는 비슷하게 생긴 아류 미인 중에 원조 혹은 가장 완벽한 미인에 해당한다고 봅니다. 매력, 인기, 미모, 성격 어디하나 빠지는 것 없이 완벽했던 90년대의 김희선은 2021년 현재까지도 여전히 아름답습니다. 진짜 10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한국 최고의 미인 인정입니다.
1997 김희선
피드 구독하기:
글 (Atom)